본문 바로가기
생활상식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방법 총정리 (서류, 조건, 공무원)

by 돈박사 2023. 5. 28.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방법 총정리 (서류, 조건, 공무원)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방법에 대해서 총정리 해보겠습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에 필요한 서류 및 조건, 공무원 해당사항등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 관련 정보 더보기

📌 2023 경기도 청년 면접수당 총정리

📌 경기 청년 갭이어 프로그램 총정리

📌 청년 일자리도약 장려금 신청방법 및 자격 대상

 

목차

     

    청년내일저축계좌 조건 및 대상

    5월 1일부터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이 시작되었으며, 5월 안으로 신청하면 됩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는 만 19세~34세 청년들을 대상으로 하는 저축 상품으로 3년간 매달 10만원씩 저축하면 정부에서 매달 동일 액수를 추가로 지원해주는 계좌입니다.

     

    36개월간 10만원씩 360만원을 넣으면, 만기시에는 720만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나이가 되는 모든 청년들을 대상으로 하지는 않습니다. 근로/사업 소득이 월 50만원 초과 ~ 220만원 이하이며, 본인이 속한 가구가 중위소득 100% 이하 소득조건을 충족해야합니다. 기초생활수급자거나 차상위 청년이라면 매월 10만원 저축시 정부지원금 30만원을 받을 수가 있어서 만기시 무려 1440만원을 수령할 수가 있습니다.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오프라인으로 신청을 하실 수도 있고, 온라인 신청은 복지로 홈페이지(bokjiro.go.kr)에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가입연령

    • 신청 당시 만 19세~만 34세(신청 월의 전월에 만 19세가 된 자~신청 월에 만 35세가 되는 자)
    • 단, 수급자·차상위자·기준 중위소득 50%이하자는 만 15세~만 39세까지 허용(신청 월의 전월에 만 15세가 된 자~신청 월에 만 40세가 되는 자)

     

    근로·사업소득

    현재 근로활동 중이며, 근로·사업소득이 월 50만원 초과~월 220만원 이하 * 단,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계층·기준 중위소득 50%이하 자는 현재 근로활동 중이며 근로,사업소득이 월10만원 이상 발생

     

    가구소득

    소득인정액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가구재산)

    대도시 3.5억원, 중소도시 2억원, 농어촌 1.7억원 이하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자세히 알아보기

     

     

    관련 있는 청년 지원정책

    청년희망적금 중복

    작년에도 청년들의 저축을 장려하는 유사한 정책이 있었습니다. 바로 청년희망적금인데요, 청년희망적금은 월 5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었습니다. 2년 만기 적금 상품이기 때문에 작년에 신청해서 시작하신 분들은 여전히 납입을 하고 계실 겁니다. 시중금리에 추가로 저축장려금 4프로를 붙여서 총 6~8프로 정도의 굉장히 높은 이자율을 보여서 인기가 많았습니다.

     

    작년에 청년희망적금을 신청해서 납입하고 계시다면 이번 청년도약계좌를 신청해 중복으로 납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합니다. 청년희망적금 만기가 도래했거나, 중도해지를 한 경우에만 청년도약계좌 가입이 가능합니다.

     

    다만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내일채움공제, 지자체 상품 등의 지원 상품과는 동시가입이 가능하며,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가입자도 중복 가입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따라서 본인이 현재 청년 저축 관련해서 혜택을 받고 있는 정책이 있다면, 이번 청년내일저축계좌와 중복으로 가입이 가능한지 여부를 미리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청년희망적금 중복 가능여부 확인하기

     

     

     

    청년내일저축계좌 공무원 군인

    저소득 청년을 위한 이런 청년 복지형 정책은 공무원이나 군인일 시 대상에서 제외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무래도 소득이 안정적이다보니 불안정한 청년들에게 기회를 더 주기 위함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이번 청년내일저축계좌의 경우 군인이나 공무원이어도 소득 조건만 맞다면 아무 문제 없이 가입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직업 안정성의 유무와 상관 없이, 현재 나이와 본인의 소득과 가계소득 조건만 맞는지 잘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공무원 군인 가능 여부 알아보기

     

     

    ✅️ 관련 정보 더보기

    📌 2023 경기도 청년 면접수당 총정리

    📌 경기 청년 갭이어 프로그램 총정리

    📌 청년 일자리도약 장려금 신청방법 및 자격 대상

     

    댓글